 |
보강토 공법의 기본 원리는 불연속체로 되어 있는 흙 자체의 토립자를 보강재와 결합시켜 층다짐을 통해 결정체로 만들어 줌으로써 외력에 의한 변이를 막아주는 것을 말한다.
또한 이 공법은 내부 마찰력은 크나 점착력이 없는 모래질 흙과, 그 반대의 성격을 갖는 점토를 내부 마찰력과 점찰력을 동시에 충족시키는 이상적인 흙재료를 만들기 위한 것이다.
보강토 공법은 성토시 흙다짐층에 보강재를 삽입하여 보강재와 토립자간의 마찰력에 의한 횡 방향변위를 구속하므로써 점착력을 유발케하고 전면에는 얇은 CON'C 판넬을 설치하여 토립자 유실을 막아줌으로써 손쉽게 옹벽을 설치 할 수 있는 공법으로 국내에서 널리 보급중에 있다.
|
■ 보강토 옹벽의 특징
▶ 특성
- 용지의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다.
- 시공운전 면적이 적다.
- 현장타설 옹벽에 비하여 외관이 미려하다.
▶ 장점
- 경제적 측면
- 옹벽고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으나 공사비를 15~40%까지
절감 시킬 수 있다.
- 공장에서 제품을 대량생산 · 공급함으로 인건비,
자재비, 사후관리비 등에서 저렴하여 경제적인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.
- 조립식 옹벽 설치공사시 고임의 특수인부가 필요치 않아
노무비를 절감시킬 수 있다.
- 기술적 측면
- 기초공사가 간단하다.
- 비계 및 부대공사가 필요치 않다.
- 벽체의 가요성이 커서 기초 기반의 부등침하 및 지진
등에 대한 적응성이 크다.
- 연약 지반의 시공과 동절기 시공이 가능하다.
- 전면판은 공장품질관리에 의해 제작된 제품으로 우수한
내구성과 균일한 강도를 갖추고 있어 신뢰성이 높다.
- 시공기술이 간편하므로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다.
▶ 단점
- 경제적 측면
- 지나친 공비절감 기대로 부실공사의 위험이 있다.
- 기술적 측면
- 급경사지에는 일반 구조물보다 절토량이 많다.
- 시공이 간편한 만큼 정밀시공이 요구된다.
- 뒷채움재의 선택이 까다롭다.
|
■ 보강토 옹벽 적용 구조물
옹벽은 물론 교대, 부벽(Buttress), Dam, 기초슬래브 보강, 안벽(Quay Wall) 등의 토류 공사에 효율적으로 적용되는 공법이다.
|
|
 |
|
☞ 확대된 사진을 보시려면 확대를 클릭하십시요. |
■ 보강토 공법의 적용
|
 |
|
☞ 확대된 사진을 보시려면 확대를 클릭하십시요. |
■ 보강토 옹벽의 제원
▶ 보강토 옹벽 표준 판넬도
|
 |
|
☞ 확대된 사진을 보시려면 확대를 클릭하십시요. |
▶ 사용재료
▶ 전면판
- σck : 300 ㎏/㎠
- σsa : 1,600 ㎏/㎠ 이상
- 두께 : 120 ~ 200 ㎜
▶ 보강재
- 아연도강판, 금속재
- 두께 : 3 ~ 4 ㎜
- 인장강도 : 38 ㎏/㎟ 이상
▶ 뒷채움재
|
입도 (mm)
|
통과백분율(%)
|
비고
|
250 100 ~ 150 NO.200
체
|
100 75 ~100 15%
이하
|
단, 0.005 mm 입경 통과율이
7%이하이면 NO.200 체 통과율이 25% 이하 사용가능. 내부 마찰력
(파이):25° 이상이 적당
|
■ 보강토 옹벽 구조도
■ 보강토 옹벽 판넬 설치 순서 및 시공 사진
▶ 판넬 설치 순서
|
 |
|
☞ 확대된 사진을 보시려면 확대를 클릭하십시요. |
▶ 시공 사진
|
 |
|
☞ 확대된 사진을 보시려면 확대를 클릭하십시요. |
|
 |